삼류 개발자의 애로사항
기업 자원 관리 시스템이란? (ERP&MES&POP) 본문
용어 설명에 앞서, MES를 알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접근이 우선되어야 한다.
우선 MES는 기업 자원 관리 시스템의 한 축이다. MES뿐만 아니라 기업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ERP나 POP와 같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들이 주축이 되어 기업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성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내가 생각한 표준 자원 관리 시스템 구조는 ERP > MES > POP 와 같은 피라미드 형식이었다.
하지만, 기업의 방침, 개발 성향에 따라서 ERP > MES & POP 가 되기도 하고, ERP & MES & POP 와 같이 모든 시스템이 하나로 관리되기도 한다.
때문에 정답은 없다!
하지만 일단 내가 이해한대로 기술하는 것이, 더 오래 남을 것 같아 일단 내 생각대로 적는다.
1.ERP (Enterprise ResourcePlanning)
ERP란, 전사적 자원 관리를 말한다. 전사적은 너무 옛말같은데 쉽게 풀어쓰자면, 기업 자원 관리라고 하면 외우기 쉬울 것 같다. 포괄적인 용어인 만큼, 기업 자원 관리에서 맡은 영역이 매우 크다.
이 ERP의 목적은 사원들의 일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함에 있다.
ERP를 이용하게 된다면, 업무 일정 관리, 인수 인계, 제조, 자원 생산, 구매, 판매, 회계 등의 기업의 여러 일들을 프로그램, 즉 솔루션을 통해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실제로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을 기록하며,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여러 갈래중에서 제조에 관한 자원관리에 해당 하는 파트를 MES가 맡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MES (Menufacturing Executing System)
MES란 , 직역하면 생산 실행 시스템를 뜻한다. 단순하게 공장 자동화 솔루션이라고 많이 생각하지만, 수주에서 완제품 출하까지의 일련 과정을 자동화시킨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본다면, 생산 현장의 정보, 작업자 활동, 설비 정보, 자원 품질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집계와 분석 하는 통합 생산 관리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3. POP(Point Of Production)
POP란, 생산 시점 관리 시스템을 뜻하며, 생산 현장에서 발생되는 각종 생산 데이터(재고, 설비 가동/비가동, 실적, 불량 정보 등)를 실시간으로 집계, 분석,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을 뜻한다. 주로 생산 시점의 정보를 모아서 상위 시스템에 정보를 넘기거나, 다른 시스템에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4. ERP vs MES vs POP
다소 비슷하면서 헷갈리기 때문에 정리한다.
일단 ERP는 용어적인 정의 만큼이나 크고, 포괄적이기 때문에 기업 전반의 모든 시스템을 관리한다. 그렇기 때문에 생산에 관련된 MES와 POP가 아니더라도 다른 모든 분야의 회사 시스템 전부가 이 ERP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ERP는 다른 시스템들의 결과들을 갖고와서 보여주는 것에 그치기 때문에 일종의 박물관이라고 할 수 있을것 같다.
일반적인 MES는 생산의 모든 것을 관리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생산 시점의 정보를 수집, 처리, 대응할 수 있는 생산 과정의 모든 것을 담당한다. 때문에 데이터를 보관만 하는 ERP와는 확연히 다르며, MES의 업무에 POP의 업무가 있는 경우가 많아, 보통 MES라 하면 POP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따지자면, MES와 POP의 업무는 구별되는데, MES는 생산 계획과 자원 할당과 관련된 것들을 처리하는 시스템이고, POP는 생산 현장 시점과 관련된 것들을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렇기 때문에 시스템의 목적이 계획과 수행이라는 명확히 다른 성격을 띄우고 있기 때문에, 엄밀히 보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대체로 합쳐서 많이쓴다.
즉, ERP가 박물관이라면 MES는 고고학자이며, POP는 화석 발굴단원, 데이터는 화석이라고 정리 할 수 있겠다.